느린 학습자(경계선 지능 아동)에 대한 이해
느린 학습자(경계선 지능 아동: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에 대한 이해
안녕하세요.
보듬살이심리상담센터입니다.
2015년 ‘느린 학습자 지원법’이 발의가 되며, 느린 학습자에 대한 이전에 비해 사회적 관심도 많아진 것 같습니다.
매스컴, 일상에서 한 번쯤 들어보셨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다른 아이들에 비해 감정이나 행동이 느리기에 ‘느린 학습자’로도 불리는 경계선 지능 아동에 대해 함께 알아보고자 합니다.
○ 경계선 지능 아동이란?
표준화 지능검사(웩슬러 지능검사 기준)상 IQ 70~79에 해당 할 때 경계선 지능 아동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물론 초기선별과정과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전문적인 검사를 실시해봐야 합니다.
지능의 정규 분포로 봤을 때, 인구의 약 14%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인구의 약 10%로 흔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Peltopuro et al., 2014). 학교에서의 경우 한 학급 당 1~3명 꼴로 전국적으로는 약 80만명이 존재하고 있을 것으로 예측됩니다(강옥려, 2016).
○ 경계선 지능 아동에게서 보이는 특성
- 추상적인 개념 이해의 어려움
제한된 인지능력으로 인해 추상적인 개념을 이해하거나, 추상적으로 사고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이로 인해 학습동기가 저하될 수 있다고 합니다(Signh, 2004). 이는 복잡한 과제를 완성하기 위해 마음속에 정보를 유지하는 작업기억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Verguts and Deboeck, 2002).
- 일반화의 어려움
보통 지능을 지닌 아동들이 교육을 받은 후, 배운개념이나 전략을 일반화시킬 수 있는 것에 비해, 경계선 지능 아동들의 경우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을 지니고 있고 적용하는 능력에서 지극히 비효율적이라고 합니다(강옥려, 2016).
- 주의력 부족
학습에서 효과를 높이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주의집중’이라고 하는데요. Shaw(2010)에 따르면,경계선 지능 아동들의 주의집중 기간(span)은 비교적 짧고, 집중하는 능력(강도)이 약하다고 했습니다.
- 학습동기의 부족
초등학교 입학 시에는 학습동기가 거의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Hihi &Harachiewicz, 2000). 그러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처음의 노력에 비해 잦은 실패와 좌절을 경험하게 되며 누적이 되어감에 따라 시도하는 것 자체를 그만두게 둘 수도 있습니다.
- 사회성과 정서 및 행동에서의 어려움
다른 아이들에게 거절당한 경험, 자신의 수준에 맞지 않는 부적절한 교수법, 부모의 자녀에 대한 낮은 인식에서 비롯된 잘못된 양육태도(ex: 자녀에 대한 인식이 낮아 무리하게 과잉학습을 시키거나, 수행하지 못할 경우 다그치고 꾸중을 하는 경우)등으로 인한 부적절한 느낌은 경계선 지능 아동들에게 정서 및 행동 문제를 야기 할 수도 있습니다.
* 불안: 경계선 지능 아동에게서 두드러지는 불안의 양상은 ‘염려’와 ‘근심‘입니다. 이들은 자기 스스로 경험하는 불안감과 정도를 잘 인식하기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불안을 조절하고 통제하는 것 또한 이들에게는 어려운 것입니다.
* 우울: 학령기에 들어선 경계선 지능의 아동의 경우 친구관계에서 인정받지 못한 경험, 학습에서 성취감 획득의 실패, 학습된 무기력 등으로 자신과 타인, 세상에 대한 부정적인 사고를 갖게 합니다. 경계선 지능 아동의 ‘경직성’은 부정적인 사고를 전환하기 어렵게 합니다. ‘기분 부전’과 같은 아동기 우울은 성인의 우울과는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평소와 다른 ‘갑작스런 짜증, 분노, 갈등, 우기기, 말대꾸하기’ 등과 같은 다양한 품행 문제과 관찰된다면 우울 때문은 아닌지 살펴보시길 권유 드립니다(정하나 등, 2021)
○ 경계선 지능 아동을 위한 정서-행동 다루기
경계선 지능 아동들에게서 보이는 특성으로 인해 정서-행동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을 경우, 아동의 수준에 맞추어 다각적이고 차원에서 접근하여 개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들을 위한 정서-행동을 다루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 칼럼에서 좀 더 자세하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문헌
정하나, 유선미, 김지연, 임행정, 정혜경, 허성희. (2021). 경계선 지능 아동의 정서사회성. 경기: 한국학술정보(주).
강옥려. (2016). 경계선급 지능 아동의 교육: 과제와 해결 방안. 한국초등교육, 27(1), 361-378.
Hidi, S., & Harackiewicz, J. M. (2000). Motivating the academically unmotivated: A critical issue for the 21st century.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0(2), 151-179.
Peltopuro, M., Ahonen, T., Kaartinen, J., Seppälä, H., & Närhi, V. (2014).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52(6), 419-443.
Shaw, S. R. (2010). Rescuing students from the slow learner trap. Principal leadership, 10(6), 12-16.
Singh, V. P. (2004). Education of the slow learners (Vol. 2). Sarup & Sons.
Verguts, T., & De Boeck, P. (2002). On the correlation between working memory capacity and performance on intelligence tests.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13(1), 37-55.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