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이해하기 시리즈 2] ‘불안’에 대한 이해 part. 1
[자녀 이해하기 시리즈 2] ‘불안’에 대한 이해 part. 1
안녕하세요. 보듬살이심리상담센터입니다.
아동, 청소년기의 자녀를 두신 부모님들을 위한 ‘자녀 이해하기 시리즈 두 번째 주제는 ‘불안 및 우울 문제’입니다. Part.1에서는 자녀들의 불안에 대한 기본 이해 및 주요 유형들에 대해 알아보고 Part. 2에서는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심리지원과 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불안의 본질 및 구성 요소
‘불안’(anxiety)은 라틴어‘anxietes' (심리적 불안정성, 불확실성의 지속적인 경향)와 ’angor' (일시적인 신체 증상)가 영어의 ‘anxiety'로 통합된 것으로 위협신호로서의 불쾌 정서를 의미합니다. 또한 어원에서 살펴봤듯이 불안에는 심리적, 신체적, 생리적 반응 모두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Freud는 심리학적 관점에서 불안을 처음 설명하고자 시도했습니다. 불안은 불쾌한 감정 상태의 느낌이며 무의식 상태에서 자아와 본능 사이의 내적 갈등에서 야기 되는 것으로 억제되지 않은 자극에 의해 압도당해 자아가 위협을 받게 되는 감정이라고 하면서 인간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관건이라고 설명했습니다.
Spielberger(1968)는 불안을 어떤 행동에 대한 반응에서 야기되는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반응의 연속 및 관계있는 하나의 과정이라며 불안을 상태불안(anxiety-state)과 특성불안(anxiety-trait)로 구분하였습니다. 상태불안은 어떤 활동을 할 때 상황에서 나타나는 부정적 정서를 의미하며, 특성불안은 보편적으로 위험하지 않다고 느끼는 상황에서 ‘나’ 만이 느끼는 주관적인 부정적 정서를 의미합니다.
특히 불안을 일으키는 요인들 중 많은 요인에서 부모와의 관계에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양육 시 행동에 대한 금지와 제약이 잦거나, 자녀를 인정해주지 않을 때 자녀들은 부모에 대한 두려움, 실패감, 무능력과 같은 경험을 통해 불안을 느끼게 되는데요. 자녀들이 만족과 인정을 얻는 수용경험을 통해 자신감을 성취한다면 자신에 대해 보다 긍정적이고 높은 수준의 평가 경험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 불안의 요소
인지적 요소 | ‘큰일났다’, ‘망했다’는 식의 생각. 구체적이지는 않음. |
신체 ‧ 생리적 요소 | 교감신경계의 흥분으로 맥박이 빨라지고 혈압이 높아지며 뇌나 근육에 혈액 증가(투쟁-도피 준비) |
행동적 요소 | 안절부절 못함, 초조, 불안 상황 회피 |
- 불안의 영향
학습과 수행: 최적 각성 수준이 넘어가면 수행 효율성 저하, 주의집중, 단기기억력, 반응 시간 등 감소
회피 행동 : 불안을 유발한 사건, 대상 회피(회피는 불안 감소, 회피 행동 강화)
아동, 청소년기에는 분리 불안, 범 불안, 평가 불안은 학습 능력 저하, 대인관계
문제 등이 야기될 수 있습니다.
○ 불안 문제의 주요 유형
특정 공포증 | - 학습된 특정 자극(상황, 환경, 대상) 노출 시 즉각적인 공포반응 유발 - 아형: 동물형(거미, 뱀 등), 자연환경형(고공, 폭풍, 물), 혈액-주사형(바늘, 침투적인 의학적 시술), 상황형(밀폐된 장소, 비행기, 엘리베이터 등) 기타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 - 강력한 스트레스 사건(외상 사건, trauma)를 겪은 후 생기는 불안 및 고통 - 재경험, 회피, 정서 반응 감소, 각성 수준 증가가 주요 증상 - 되돌리 수 없는 과거에 대한 수용 및 새로운 생활 패턴 습득이 중요. |
분리 불안 | - 특정 공포증, 스트레스 장애와 달리 성격의 일부 - 주 양육자와 분리 시 강한 불안 반응과 신체 증상을 보임. - 유치원, 학교의 등교 문제, 집 떠나기의 거부 - 청소년기에는 애착대상에 대한 걱정으로 발전할 수 있음 |
대인 공포 (평가 ‧ 발표 불안) | - 타인을 대할 때 불편하고 어색한 느낌을 가짐 - 신체 증상: 상기된 얼굴, 맥박이 빨라지고, 땀이 나거나, 목소리와 손발이 떨리는 증상. Paul(1966)은 발표불안에 대해 개인이 다수의 타인에게 관심의 초점이 되는 상황에서 타인의 평가가 예상되거나 발표를 잘해야 된다는 강한 자의식 때문에 과긴장과 초조, 걱정, 떨림의 심리 상태로 인해 자신이 준비한 것을 소신껏 발표하지 못하는 불안 상태라고 함. |
강박증 | - 원하지 않는 생각이 의지와 상관없이 계속 떠오르거나, 행동으로 계속 나타남 - 강박 관념: 성적이거나, 공격적, 죽음, 오염, 질서에 대한 강박관념 등 - 강박 행동: 확인, 청결, 균형, 대칭추구, 시선을 끄는 등 - 강박증의 요인 생물학적 요인: 세로토닌의 비정상적인 낮은 활동과 안와전두피질과 미상핵의 과잉 활동에 의한 요인 행동적 요인: 우연한 연합과 강화에 의하여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이 형성되고 유지됨 인지적 요인: 침투적 사고에 대해 과도하게 통제하려고 하거나, 자기책임을 과도하게 평가하려고 함. |
일반화된 불안 (범불안) | - 일상의 여러 가지 일들에 대한 끊이지 않는 걱정(불안과 걱정의 정도, 기간, 빈도는 예상되는 사건이 미치는 실제 영향에 비해 과도하고, 걱정스러운 생각을 조절하기가 힘듦)→ 걱정에 집중 하니라 실제 해야 할 일에 주의를 기울이기 힘들다는 특징이 있으며 학습, 대인관계에서 문제 발생 |
지금까지 불안에 대한 이해 및 불안 문제의 주요 유형에 대해 함께 살펴보셨는데요. Part.2에서는 자녀의 불안 문제를 다루기 위한 구체적인 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생생한 빛의 향연이 매일 펼쳐지는 봄의 중심에서 가족 모두 평온한 날들 보내시길 보듬살이가 기원합니다,
참고문헌
이선주 (1995). 특성 불안 및 통제 소재와 스트레스 대처 양식과의 관계 :고교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