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통제'를 바라보는 나의 관점 점검하기
‘자녀 통제’를 바라보는 나의 관점 점검하기
안녕하세요. 보듬살이심리상담센터입니다.
보듬살이를 방문해주신 부모님들께서도 올해 초 시작된 코로나가 장기화 되면서 이전보다 자녀와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셨을텐데요. 물리적으로 변화된 일상과 환경에서 이전보다 자녀와의 접촉이 잦아지면서 갈등은 증가하지 않으셨는지, 내가 바라보는 자녀‘통제’는 어떤지 이번 시간에 보듬살이와 함께 살펴볼까요?
○ 통제 요인 알아보기
Barber와 Hamon(2002)은 부모가 자녀 양육 시 보이는 통제 요인을 심리적 통제와 행동적 통제로 구체화시켜 다음과 같이 구분했습니다.
- 행동적 통제: 자녀의 일상적인 생활, 규칙준수 등을 보상과 처벌, 관리와 같은 전략을 통해 규칙과 기준을 제공하는 부모의 행동을 의미함.
- 심리적 통제: 자녀의 언어적, 감정표현 제재 및 죄의식을 느끼게 하고, 애정을 철회하겠다는 심리적 압박을 통해 자녀의 심리적 자기(self)에 대해 통제하고 침해함. 암시적으로 미묘하게 상호작용하여 간접적으로 통제한다는 점에서 다른 양육 행동과 차이가 있음. 부모와 자녀 사이 애착 관계에 영향력을 행사하여 자녀를 조정하며 부모의 비 일관적인 감정기복을 동반하는 것이 특징.
-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미치는 영향
Averill(1983)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로 기본심리욕구가 좌절되면 심리적으로 불안정하고 긴장하게 된다고 했으며, 분노, 적대감, 공격성 등이 대처반응으로 발현된다고 했는데요. 국내 많은 연구들에서도 자녀들이 부모의 심리통제가 높다고 지각할수록 공격성과 과잉행동과 같은 외현화 문제행동 및 우울, 불안, 자기 부적절감, 낮은 자아존중감과 같은 내면화 문제행동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박신영, 2014; 전숙영, 2007), 학교 적응 수준과 학업 성적 및 게임중독과 관련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김지현, 2010; 류현정, 2011; 이현정, 2012).
○ 기본심리욕구 알아보기
Deci와 Ryan(2000)은 기본적 심리욕구로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 3가지를 제시했으며, 이는 인간의 지속적인 심리 성장과 통합에 타고나는 보편적인 필수요소라고 했습니다.
자율성: 행동의 원인과 주체를 자신의 것으로 여기길 바라며 스스로의 행동과 중요하고 가치 있는 것을 결정할 수 있는 자유를 바라는 것
유능감: 스스로가 유능하다는 지각을 의미, 스스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적합한 조건을 발견하고, 자신의 능력과 재능을 꾸준히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동기를 이끌어 내는 것
관계성: 사회적 환경 안에서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으로 자신이 속한 사회 환경 속에서 밀접한 관계 구축과 공동체 조화 심리를 발전시키려는 경향성.
○ 자녀통제, 자녀에게 어떻게 다루어야 할까요?
자녀의 기본심리욕구를 좌절 시키는 요인은 없었는지 양육패턴을 점검해보시고, 기본심리욕구를 충족시켜 주려는 환경을 제공하고자 노력하는 양육 태도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부모가 수용적이고 자율적이라고 지각하는 자녀들에게서 ‘자기통제’가 높게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처럼 자녀들의 자기조절능력은 부모에게 방향키가 쥐어져 있는데, 건강한 성장 환경은 어떻게 제공해야 할까요? 자녀의 발달 단계 특성을 고려하여 기본심리욕구가 충족될 수 있는 기회들을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제공해보세요. 온정적이고 지지적인 태도를 유지하세요. 보듬살이가 곁에서 항상 응원하고 있겠습니다!
참고문헌
김지현 (2010). 어머니의 자녀관련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및 지지/통제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류현정 (2011).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통제가 인터넷 게임중독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에
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 대학교. 서울.
박신영 (2014).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과 역기능적
완벽주의의 역할.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이현정 (2012).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과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서울.
전숙영 (2007).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아동의 행동문제 - 학령기 후기 아동의 정서적
자율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탐색. 대한가정학회지, 459(6), 101-111.
Averill, J. R. (1983). Studies on anger and aggression: implications for theories
of emotion. American psychologist, 38(11), 1145.
Barber, B. K., & Harmon, E. L. (2002). Violating the sel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f children and adolescents.
Deci, E. L., & Ryan, R. M. (2000).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4), 227-268.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